BIAIF

심사

심사위원 소개

심사위원|채수응감독

리처드 코미어

캐나다국립영화위원회 총책임자

리처드 코미어는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NFB)의 총책임자 겸 프로그래밍 책임자로 임명되어 NFB의 제작, 배급, 마케팅을 총괄하고 있다. 30년 경력의 오디오비주얼 산업 전문가로, 캐나다 최초 디지털 시각효과 스튜디오 Buzz Image Group을 설립하고, 미국과 캐나다에서 다양한 콘텐츠 제작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최근 몬트리올 MELS 스튜디오에서 부사장으로 활동했으며, NFB의 창의적 접근과 젊은 관객과의 소통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심사위원|채수응감독

채수응감독

아리아 스튜디오 대표

채수응 감독은 한국, 미국, 중국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아온 감독 겸 프로듀서다. 그는 전통 미디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해 다양한 장르와 미디어 융합을 추구하며, 특히 영화적 실험을 통해 트랜스휴머니즘을 탐구하고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중심으로 영화와 VR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는 영화라는 장르 안에서 시네마틱한 체험 요소를 도입하여, 관객의 참여에 따라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시한다. 최근에는 연극, 영화, 게임, 전시 등 전통적인 장르의 문법을 확장하며, AI를 기반으로 관객 참여형 인터랙티브 콘텐츠와 새로운 미디어 장르 개발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또한, 채수응 감독은 영화 ”미스터 고”의 3D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적인걸 3”의 VFX 총괄을 맡아 제55회 금마장 시상식 최우수 시각효과상 후보에 올랐다. 이어, 한-중 장편 영화 “초능력소년사건”의 각본과 연출을 맡아 제23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VR 분야에서는 제75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우수 VR 체험상을 수상한 “버디 VR”을 연출했으며, 2017년 칸 영화제에서 VR 어트랙션 “화이트 래빗”을 선보였다. 현재 그는 아리아 스튜디오의 대표로서 LG의 가상 인간 ‘김래아’ 제작을 비롯해 캐릭터 중심의 AI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그의 작품 “아파트: 리플리의 세계”는 2024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심사위원|채수응감독

팻 파타라누타폰

MIT 미디어랩 박사

팻 파타라누타폰은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랩의 Fluid Interfaces 연구 그룹에서 인간-AI 상호작용, 사이보그 심리학, 합성 생물학 등을 연구하는 과학자이자 기술자이다. 그는 NASA, IBM, Stanford 등과 협력하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미래를 탐구해왔으며, Nature Biotechnology, IEEE, ACM 등 다양한 학술 저널에 연구를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Forbes, Scientific American, National Geographic 등의 매체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 주요 전시회에서 작품을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최근 팻은 Netflix의 SF 앤솔로지 시리즈 TOMORROW AND I의 시리즈 크리에이터로 참여하여 동남아시아의 미래상을 새롭게 그려내는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이 시리즈는 태국과 동남아시아의 문화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며, 시청자들이 지역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BIAIFBusan International AI Film Festival

BIAIFBusan International AI Film Festival

BIAIFBusan International AI Film Festival

BIAIFBusan International AI Film Festival